본문 바로가기
IT

가상화

by 참존고시원 2023. 12. 1.
반응형

 

가상화란?

 물리적인 컴퓨터나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할하거나 통합하여 여러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가상화를 통해 IT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가상화의 종류...

[서버 가상화]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각 가상 서버에서 다른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술입니다. 
서버 가상화를 통해 서버의 수를 줄이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서버의 관리와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서버 가상화의 대표적인 예는 VMware vSphere1, Microsoft Hyper-V2, KVM3 등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가상화] 
데이터 센터의 서버에서 가상의 데스크탑 환경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PC나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데스크탱 가상화를 통해 PC의 구성이나 성능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동일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의 보안과 백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 가상화의 대표적인 예는 VMware Horizon4, Citrix Virtual Apps and Desktops5, Microsoft Remote Desktop Services6 등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애플리케이션을 중앙 서버에 설치하고, 가상의 인터페이스만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PC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애플리케이션 가상화를 통해 PC의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와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업데이트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가상화의 대표적인 예는 Microsoft App-V7, VMware ThinApp8, Citrix Virtual Apps9 등이 있습니다.

가상화의 장/단점은...

[장점] 
IT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벤더의 종속성을 줄이고,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단점] 
가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구매 및 설치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가상화의 복잡성과 오버헤드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성이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가상화의 관리와 보안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결론]

가상화는 IT 환경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가상화의 개념과 종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상화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다음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십시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GC 내부회계 관리기준  (0) 2023.12.02
해킹의 위험성  (0) 2023.12.01
IT 보안  (0) 2023.12.01
ISO 7계층  (0) 2023.12.01
클라우드 서비스  (0) 2023.12.01